Quantcast
Channel: 손 요한 –스타트업 스토리 플랫폼 '플래텀(Platum)'
Viewing all articles
Browse latest Browse all 1944

센트비, 누적 송금액 9천억, 송금 건수 100만 건…외환 전문 ‘네오뱅크’선언

$
0
0

센트비 최성욱 대표

센트비가 출범 5주년 성과와 신 사업 모델을 발표하며 국내 최초의 외환 전문 ‘네오뱅크(Neo-bank)’로서 입지를 넓히겠다고 28일 기자 간담회에서 밝혔다.

2016년 출시된 개인 해외 송금 서비스 ‘센트비(SENTBE)’의 누적 송금액은 9천 억으로 평균30초에 1번씩 센트비로 해외 송금이 이뤄지고 있으며, 누적 송금 건수는 100만 건을 돌파했다.

센트비 서비스는 현지 은행, 글로벌 송금 기업 등 40여 개 이상의 파트너사를 통해 은행 대비 최대 90% 이상 저렴한 수수료, 사용 편의성, 빠른 송금 속도가 강점이다. 웹과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에서 24시간 실시간 해외 송금이 가능하다.

센트비는 그동안 외환 서비스를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 시장에도 선보이기 위해 외환 전문 라이선스를 확보하는데 주력했다. 이에 국내 핀테크 업계 최초로 싱가포르 송금(Remittance) 라이선스, 전자지급결제 대행(Payment Gateway, PG) 라이선스를 비롯해 기타 전문 외국환업 라이선스 등을 취득했다. 이는 이날 발표한 ‘국내 최초 외환 전문 네오뱅크’의 배경이 되었다.

네오뱅크는 정보통신기술(ICT) 기반의 경쟁력을 활용해 대출, 외환 등 특정 금융 서비스에 집중, 특화된 서비스다. 전통적인 금융 기업들이 해온 모든 금융 서비스를 온라인에서 실시하는 챌린저 뱅크(Challenger Bank)와는 반대 개념이다. 금융 문제를 해결하는 기능을 제공하기 때문에 포용적 금융의 성격을 갖고 있다. 또한, 은행 설립에 필요한 면허가 없어도 기존 은행과 제휴를 통해 자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전 세계적으로 대표적인 네오뱅크는 중국의 위뱅크(WeBamk), 미국의 차임(Chime), 영국의 레볼루트(Revolut), 독일의 N26 등이 있다.

이번 기자간담회를 통해 새롭게 선보이는 ‘센트비 글로벌(SENTBE GLOBAL)’은 해외에서 국내, 해외에서 해외 송금이 가능한 서비스로, 싱가포르를 시작으로 미국, 캐나다 등으로 확장해나갈 계획이다. 앞서 센트비는 올 2월 ‘센트비즈(SENTBIZ)’를 출시해 기업을 위한 해외 대금 결제 및 송금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다.

싱가포르에서는 현지 은행을 통해 송금할 경우 수취 시까지 2~3일이 소요되지만, 센트비 글로벌은 최소 5분 이내에 수취할 수 있고, 은행 대비 최대 90% 저렴한 수수료로 서비스를 제공한다. 센트비 글로벌의 저렴한 수수료와 편의성, 송금 속도를 내세워 현지 주재원, 사업자, 교민과 외국인 근로자를 대상으로 서비스를 선보일 예정이다.

11월 새롭게 센트비 서비스를 런칭하는 미얀마, 나이지리아까지 포함하면 송금 가능 국가는 총 50개 국가로 확대된다.

이와 함께 글로벌 이커머스 플랫폼을 대상으로 하는 판매 대금 정산 API서비스 ‘센다(SENDA)’도 공개했다. 글로벌 이커머스 플랫폼에서는 결제 대금을 판매자 국적의 현지 통화에 맞춘 개별 정산으로 진행하여 높은 수수료와 업무의 비효율성이 문제되어 왔다. 센트비가 개발한 API 기능을 이커머스 플랫폼에 연동하면 자동으로 판매자 현지 통화로 정산되고, 기존 은행 대비 최대 70% 저렴한 수수료를 제공한다.

센트비 최성욱 대표는 “개인 해외 송금 서비스로 시작했지만 세계 외환 시장에서도 통용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라이선스, 외환 관리, 글로벌 파트너십을 탄탄하게 쌓아왔다”며 “개인 고객과 기업이 갖고 있었던 외환 송금, 결제 등의 문제를 자사만의 기술력으로 해결해 나가며 국내 최초 외환 전문 네오뱅크로 성장해갈 것”이라고 밝혔다.


Viewing all articles
Browse latest Browse all 1944

Trending Articles